베갈타 센다이

덤프버전 : (♥ 0)


파일:J2리그 로고(가로형).svg
2024 시즌 참가 클럽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80><width=25%>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FC|[[파일:가고시마 유나이티드 로고.svg|height=50]]]][br]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FC|{{{#f5fffa '''가고시마'''}}}]]
||<width=25%> [[반포레 고후|[[파일:방포레 고후 로고.svg|height=50]]]][br]
[[방포레 고후|{{{#ffffff '''고후'''}}}]]
||<width=25%> [[로아소 구마모토|[[파일:로아소 구마모토 로고.svg|height=50]]]][br]
[[로아소 구마모토|{{{#ffffff '''구마모토'''}}}]]
||<width=25%> [[더스파구사쓰 군마|[[파일:더스파구사쓰 군마 로고.svg|height=50]]]][br]
[[더스파구사쓰 군마|{{{#ffff00,#feff00 '''군마'''}}}]]
|| ||<height=80> [[V-파렌 나가사키|[[파일:V-파렌 나가사키 로고.svg|height=50]]]][br]
[[V-파렌 나가사키|{{{#0066ad,#52b7fe '''나가사키'''}}}]]
||<width=25%> [[도치기 SC|[[파일:도치기 SC 로고.svg|height=50]]]][br]
[[도치기 SC|{{{#00008b,#7474ff '''도치기'''}}}]]
||<width=25%> [[도쿠시마 보르티스|[[파일:도쿠시마 보르티스 엠블럼.svg|height=50]]]][br]
[[도쿠시마 보르티스|{{{#ffffff '''도쿠시마'''}}}]]
||<height=80> [[미토 홀리호크|[[파일:미토 홀리호크 로고.svg|height=50]]]][br]
[[미토 홀리호크|{{{#ffffff '''미토'''}}}]]
|| ||<width=25%> [[베갈타 센다이|[[파일:베갈타 센다이 엠블럼.svg|height=50]]]][br]
[[베갈타 센다이|{{{#262370 '''센다이'''}}}]]
||<width=25%> [[시미즈 S펄스|[[파일:시미즈 S펄스 로고.svg|height=50]]]][br]
[[시미즈 S펄스|{{{#2a385f '''시미즈'''}}}]]
||<height=80> [[블라우블리츠 아키타|[[파일:블라우블리츠 아키타 로고.svg|height=50]]]][br]
[[블라우블리츠 아키타|{{{#ffffff '''아키타'''}}}]]
|| [[몬테디오 야마가타|[[파일:몬테디오 야마가타 로고.svg|height=50]]]][br]
[[몬테디오 야마가타|{{{#fdf15b '''야마가타'''}}}]]
|| || [[레노파 야마구치|[[파일:레노파 야마구치 로고.svg|height=50]]]][br]
[[레노파 야마구치|{{{#ffffff '''야마구치'''}}}]]
|| [[에히메 FC|[[파일:에히메 FC 로고.svg|height=50]]]][br]
[[에히메 FC|{{{#ffffff '''에히메'''}}}]]
|| [[오이타 트리니타|[[파일:오이타 트리니타 엠블럼.svg|height=50]]]][br]
[[오이타 트리니타|{{{#ffffff,#8cc8fe '''오이타'''}}}]]
||<height=80> [[파지아노 오카야마|[[파일:파지아노 오카야마 로고.svg|height=50]]]][br]
[[파지아노 오카야마|{{{#ffffff '''오카야마'''}}}]]
|| || [[요코하마 FC|[[파일:요코하마 FC 엠블럼.svg|height=50]]]][br]
[[요코하마 FC|{{{#0f2350 '''요코하마 FC'''}}}]]
|| [[이와키 FC|[[파일:이와키 FC 로고.svg|height=50]]]][br]
[[이와키 FC|{{{#ffffff '''이와키'''}}}]]
||<width=25%>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파일: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 로고.svg|height=50]]]][br]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17952c,#6ae77f '''지바'''}}}]]
||<height=80> [[후지에다 MYFC|[[파일:후지에다 MYFC 로고.svg|height=50]]]][br]
[[후지에다 MYFC|{{{#ffffff '''후지에다'''}}}]]
|| ||<-2><bgcolor=#d8232a> [[틀:J1리그|{{{#ffffff ◀ [[파일:J1리그 로고(가로형).svg|height=30]]}}}]] ||<-2><bgcolor=#006bc8> [[틀:J3리그|{{{#ffffff [[파일:J3리그 엠블럼 가로형(2023~).svg|height=30]] ▶}}}]] ||




파일:베갈타 센다이 엠블럼.svg
베갈타 센다이
Vegalta Sendai
정식 명칭ベガルタ仙台
라이센스J1
창단1988년[1]
1994년 10월 7일 (29주년)[2][3]
구단 형태시민 구단
소속 리그파일:J2리그 로고(가로형).svg
연고지미야기현 센다이시
홈구장유아텍 스타디움 센다이 (19,694명 수용)
구단주사사키 토모히로 (佐々木知廣)
감독이토 아키라 (伊藤彰)
키트 스폰서아디다스
공식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라인 아이콘.svg
역대 한국인 선수김은중 (2003[4])
조병국 (2011)
김민태 (2015~2016)
김정야 (2018~2020)
이윤오 (2017~2020)
김태현 (2022~[5])
허용준 (2023~[6])
우승 기록
J2리그
(1회)
2009

1. 개요
2. 역사
2.1. 초기
2.2. J리그
2.2.1. 2020 시즌
2.2.2. 2021 시즌
3. 유니폼
4. 여담
5. 우승
6. 선수단
7. 주요 선수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미야기현 센다이시를 연고지로 하는 J리그 프로 축구단이다. 1999년에 J리그에 가입했다. 홈구장은 유아텍 스타디움 센다이이며, 부정기적으로 미야기 스타디움도 이용한다. 등번호 12번은 서포터 번호로 영구 결번이다.

베갈타 센다이 영구 결번
No.12 서포터

구단명은 직녀성을 뜻하는 Vega와 견우성을 뜻하는 Altair의 합성어로 센다이 칠석제 중 견우와 직녀의 전설을 상징한다. 막상 이름을 짓고 나서 보니 이 팀은 화를 잘 낼 것처럼 보인다.

마스코트는 '베갓타'로 견우성이 속해있는 독수리자리에 기인하여 독수리 모습을 한 마스코트로 정했다고 한다.
파일:vegalta_sendai.gif


2. 역사[편집]



2.1. 초기[편집]


1988년 창단한 도호쿠 축구부가 전신이다. 1994년에 도호쿠 사회인 축구 리그 및 전국 지역 축구 리그 결승 대회에서 우승하였다. 1995년 재팬 풋볼 리그(JFL)로 승격하였다. 또한 1994 년 10월에 운영 법인으로서 주식회사 도호쿠 헌드레드(현 회사 베갈타 센다이)를 설립하고 클럽 이름을 브란멜 센다이로 개칭했다.


2.2. J리그[편집]


1995년에 J리그 준회원이 되었다. 1999년부터 J리그의 2부제 시작과 함께 J리그 디비전 2(J2)에 참가하였다. 또한 상표권 문제로 1999년 1월부터 클럽 명칭을 베갈타 센다이로 개칭했다. 또한, 팀 색상도 골드(베갈타 골드)로 변경하였다.

2001년 J2리그에서 우승하며 도호쿠 지방 팀으로는 최초로 1부리그로 승격하였다. 그러나 2년만에 J2리그로 다시 강등되었다. 2008년에 J2리그 3위를 기록하여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으나 주빌로 이와타에게 패하여 잔류하였다.

이듬해 2부리그 우승으로 7년 만에 J1으로 승격했으나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경기장도. 훈련장도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충격을 극복하고 4위라는 성적을 달성하여 이재민들의 희망이 되었다. 관련기사

2012년에는 리그 준우승으로 2013년 AFC 챔피언스 리그에 출전하였으나 최하위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하였다.

이후에는 중위권을 전전하는 특징없는 팀이었다.
2018시즌에도 강등권에 든 적 없이 리그 11위를 차지하며 평범한 시즌을 보냈지만 천황배 결승전에 진출하며 토호쿠 최초의 천황배 결승 진출팀이라는 기록을 세웠지만[7] 우라와에 패하며 첫 우승의 꿈은 좌절되었다.

2019시즌도 이렇다할 특징 없는 시즌을 보냈고 국가대표 골키퍼 슈미트 다니엘도 떠났다. 시즌이 끝나고 6시즌간 팀을 이끌었던 와타나베 스스무 감독이 퇴임했다. 후임자는 몬테디오 야마가타를 상위권으로 이끌었던 키야마 타카시 감독이 유력하다고 한다.


2.2.1. 2020 시즌[편집]


2019시즌 야마가타를 상위권으로 이끌었던 키야마 타카시 감독이 부임했다.
임팩트 없이 흘러간 시즌들이 이어지면서 큰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지난 시즌 사간 도스의 에이스로 활약했던 스페인 선수 이삭 쿠엔카를 일찌감치 영입했고 포르투갈 연령별 대표로 활약했던 공격수 게데스의 영입이 유력하다고 한다.

그러나 2020시즌 최하위를 달리고 있고 전 대회 통틀어 홈에서 무승이라는 최악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분노한 센다이의 팬들은 구단의 버스를 막으며 항의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결국 시즌이 끝날때까지 홈에서 무승이라는 굴욕적인 기록을 세웠고 한 시즌만에 키야마 감독을 내보낸다. 후임 감독은 예전에 센다이를 지도했었고 2020시즌 나가사키를 3위로 이끌었던 테구라모리 마코토 감독.


2.2.2. 2021 시즌[편집]


시즌 초반부터 부진을 면치 못하다가 결국 19위로 J2리그 강등을 확정지었다.


3. 유니폼[편집]


브라질의 메이커 Topper, 자국 메이커 아식스의 지원을 받다가 2015시즌부터 아디다스의 유니폼을 입고있다.
메인 컬러는 금색과 파란색.
파일:0226110303_5a936ad7392ea.jpg파일:0718174933_5b4eff1d94420.jpg
2018 시즌 홈 유니폼2018 시즌 여름 특별 유니폼

파일:49949878_2302523533305720_270667812496736256_n.jpg
2019 시즌 홈 유니폼


4. 여담[편집]


  • 서포터 및 지역민들과 함께 동일본 대지진을 극복하는 과정이 다큐멘터리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선댄스 케이블 채널에서 볼 수 있었다.

  • 도호쿠권에서 1부리그 경력이 가장 많은 팀이다. 간간히 몬테디오 야마가타가 승격했지만 대부분 J2에 머물러있고, 후쿠시마 유나이티드와 구루자 모리오카는 J3에 머물러 있다. 사실 이 두 팀은 J2로의 승격도 쉽지 않아 보인다. 아키타현블라우블리츠 아키타는 J3의 강팀이고 2017 시즌 우승을 차지했지만 2020년에야 J2로 승격했다.

  • 이 팀에 있던 유망주인 니시무라 타쿠마가 PFC CSKA 모스크바로 이적하였다. 물론 니시무라의 강력한 의지가 있기도 하였다.



5. 우승[편집]


  • J리그 디비전 1 : 2012년 준우승
  • J리그 디비전 2 : 2009년 우승


6. 선수단[편집]


베갈타 센다이 2024 시즌 선수 명단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일문/로마자 성명생년월일체격
2파일:일본 국기.svgDF나가토 카츠야永戸 勝也1995.01.15173cm/73kg
3파일:일본 국기.svgMF이이오 류타로飯尾 竜太朗1991.01.30173cm/69kg
4파일:일본 국기.svgDF하치스카 코우지蜂須賀 孝治1990.07.20180cm/76kg
5파일:일본 국기.svgMF시이하시 케이야椎橋 慧也1997.06.20178cm/70kg
6파일:일본 국기.svgMF효도 신고兵藤 慎剛1985.07.29172cm/68kg
7파일:일본 국기.svgMF세키구치 쿠니미츠関口 訓充1985.12.26171cm/66kg
8파일:일본 국기.svgMF마츠시타 요시키松下 佳貴1994.03.03174cm/67kg
11파일:일본 국기.svgFW이시하라 나오키石原 直樹1984.08.14173cm/63kg
13파일:일본 국기.svgDF히라오카 야스히로平岡 康裕1986.05.23183cm/72kg
14파일:일본 국기.svgMF이시하라 타카요시石原 崇兆1992.11.17172cm/67kg
15파일:일본 국기.svgMF요시오 카이나吉尾 海夏1998.06.28168cm/63kg
17파일:일본 국기.svgMF토미타 신고富田 晋伍1986.06.20169cm/64kg
19파일:일본 국기.svgFW저메인 료Germain Ryo1995.04.19182cm/75kg
20파일:일본 국기.svgFW아베 타쿠마阿部 拓馬1987.12.05171cm/72kg
21파일:일본 국기.svgGK세키 켄타로関 憲太郎1986.03.09178cm/78kg
22파일:일본 국기.svgGK카와나미 고로川浪 吾郎1991.04.30192cm/84kg
27파일:일본 국기.svgDF오오이와 카즈키大岩 一貴1989.08.17183cm/78kg
30파일:일본 국기.svgMF타나카 와타루田中 渉2000.09.23169cm/59kg
31파일:일본 국기.svgDF테루야마 하루토照山 颯人2000.08.28182cm/70kg
33파일:일본 국기.svgDF토키다 마사토常田 克人1997.11.27187cm/82kg
38파일:일본 국기.svgFW나가사와 슌長沢 駿1988.08.25192cm/82kg
구단 정보
구단주: 사사키 토모히로 / 감독: 이토 아키라 / 구장: 유아텍 스타디움 센다이
출처: 베갈타 센다이 / 최종 수정 : 2023년 12월 26일




7. 주요 선수[편집]


한국 국적으로는 과거 김은중, 박주성, 조병국, 박성호, 김민태가 이 팀에서 뛰었다. 2017 시즌에는 중동고등학교 출신 1999년 3월생 골키퍼 이윤오,[8] 2018 시즌에는 감바 오사카에서 뛰던 재일교포 김정야가 합류했다. 2023년부터는 포항 스틸러스에서 임대 이적한 허용준이 새로 합류한다.


8. 둘러보기[편집]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1:03:44에 나무위키 베갈타 센다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신인 도호쿠 전기회사 축구부의 창단연도[2] #[3] 베갈타 센다이의 설립일[4] 대전 시티즌에서 임대[5] 울산 현대에서 임대.[6] 포항 스틸러스에서 임대.[7] 4강 상대가 몬테디오 야마가타였던지라 도호쿠팀이 결승진출한다는 사실은 정해져있긴 했다.[8] 이윤오는 2019년에는 J3리그의 후쿠시마 유나이티드 FC로 임대. 복귀 후 J1리그감바 오사카로 임대. 이후 대구 FC로 이적.